728x90
-실습 목표
- 셋톱박스형 음악 플레이어 구동실습을 통해 4차 산업에 적합한 인재로서의 역량 강화
- 영어로 Open Source 문서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강화
- 프로그램 구조 파악과 모니터링 업무
-셋톱박스란?
말 그대로 바닥 위에 올려놓는 박스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.
-셋톱박스의 기능?
디지털 방송 사업자는 영상, 음성, 데이터 신호를 다중 송신(multipex)으로 압축한 후 이를 변조해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.
디지털 셋톱박스는 이 송신된 신호를 디지털 튜너를 통해 수신한 후 복조과정을 거쳐 각각의 신호를 압축 해제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한다.
-셋톱박스의 구성?
- System Board : 모든 전자기기의 기본 Frame으로 각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연결시켜주거나 결선, 고정, Self Error Check 등의 기능을 담당.
- Tuner : 위성이나 지상파 혹은 케이블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Demodulator(Modulator)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.
- Demodulator : Analog 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 Bit Stream으로 변환시키는 역할
- Demultiplexer : Demodulator를 거쳐나온 stream은 PID로 구성되고 구별되는데 Demultiplexer에서는 PID를 기준으로 Audio, Video, Data를 풀어 디코더에 건네준다.
- Decorder : 거쳐 나온 Video/Audio 신호들은 실제 시청자가 들을 수 있는 신호로 풀어줘야 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.
- CPU and Memory : CPU는 Set-top 내의 각 요소들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주된 역할, 메모리는 CPU연산 과정에 필요한 부분과, 임시로 저장해둬야하는 내부 데이터 등의 저장소 등등.
-실습내용
셋톱박스에 설정된 API url을 테스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할 API url 로 변경하고 테스트 모니터링.
-실습과정
-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고 있어 PuTTY를 이용하여 SSH 접속하기.
- Log파일을 보고 동작 순서와 확인해야할 파일 파악하기 -> 5가지 정도의 주요 로직 파악.
- main 파일을 열어 내용 확인하며 흐름 파악하며 동작 이해하기.
- API 통신을 통해 Instance를 생성하는 부분과 생성된 Instance를 다루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파악.
- 읽어 들어오는 API url을 Json객체로 받는데 이 부분을 하드코딩으로 수정하면 될 것으로 파악.
- (현재 서비스중인 부분이기에 불러들어오는 Json 객체를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해보였다.)
- 수정할 부분을 맞게 파악했는지 서비스 중인 다른 API url을 이용하여 확인하기. (확인 결과 맞는 것으로 파악)
- 테스트 모니터링해야할 API url 주소를 입력하자 singin:URLError가 발생.
- URL을 http에서 https로 변경하자 에러 없이 실행됨.
728x90
'ICT 학점연계 프로젝트 인턴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CT 학점연계 프로젝트] 웹 개발 업무 (0) | 2022.05.27 |
---|---|
[ICT 학점연계 프로젝트] Open API 활용한 웹 _ Spring (0) | 2022.04.04 |
[ICT 학점연계 프로젝트] Open API 활용한 웹 _ Node.js (0) | 2022.03.18 |
[ICT 학점연계 프로젝트 인턴십] API란? API에 대해 이해하기 (0) | 2022.03.08 |
[ICT 학점연계 프로젝트 인턴십] Github 연동, 기본적인 조작 익히기 (0) | 2022.03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