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용량 데이터를 주고받는 신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이렇게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이터를 지연 없이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분산해서 전달하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했다. 이에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도 지연 없이 콘텐츠를 분산해 전달할 수 있는 CDN 서비스가 등장하게 된다.
CDN이란?
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인 CDN은 지리적 제약 없이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기술이다.
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콘텐츠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한다. CND은 각 지역에 캐시 서버를 분산 배치해, 근접한 사용자의 요청에 원본 서버가 아닌 캐시 서버가 콘텐츠를 대신 전달한다.
CDN이 필요한 경우는?
인터넷을 통해 비즈니스를 운영하거나 웹 사이트에서 그래픽 이미지, 동영상 파일 등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면 CDN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. CDN은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온라인 게임, 대용량 파일 전송, 그리고 해상도가 높아 용량이 큰 이미지를 다루는 쇼핑몰, 포털 사이트 등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.
그러나 특정 국가나 지역만을 타깃으로 하는 웹 서비스라면 CDN을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불필요한 연결 지점이 늘어나 웹 사이트의 성능 저하를 불러올 수 있다.
CDN의 활용 사례?
1. 넷플릭스
2. 에어비앤비
3. NC소프트
4. 카카오 게임즈 등등
출처: https://library.gabia.com/contents/infrahosting/8985/
가비아 라이브러리
IT 콘텐츠 허브
library.gabia.com
'IT지식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관련 기초 지식 정리 (2) | 2022.12.04 |
---|---|
[네트워크] 인터넷 (0) | 2022.11.30 |